김성로 [기도] 45*45cm, 한지위에 아크릴. 2001
[56장/책을 읽더라도 그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면 문자의 노예이다]
-
讀書 不見聖賢 爲鉛槧傭 居官 不愛子民 爲衣冠盜
독서불견성현 위연참용 거관불애자민 위의관도.
講學不尙躬行 爲口頭禪 立業不思種德 爲眼前花.
강학불상궁행 위구두선 입업불사종덕 위안전화.
글을 읽어도 성현을 보지 못한다면 "지필紙筆의 종"일 뿐이고
벼슬자리에 있어도 백성을 사랑하지 않는다면 관복을 입은
도둑에 지나지 않는다. 학문을 하면서도 몸소 실천함을 숭상하지
않는다면 입으로만 참선하는 사람일 뿐이요, 큰 일을 일으키고도
은덕을 심지 않는다면 눈앞에서 잠시 피었다가 지는 꽃일 뿐이다.
[해설]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한 교훈이다. 학문을 하여 입신출세하는
목적은 국가와 민족에게 이바지하려는 것이거늘 목적과 상관없는
행동을 한다면 그것처럼 비참한 인생도 없을 것이다. 오늘날에도
입으로만 애사(愛社)하는 무리는 얼마든지 있다. 그러기에 공자
(孔子)는 『논어(論語)』에서 "한 말은 반드시 실행에 옳기고 실행
하면 반드시 성과를 거두라"言必行 行必果"라고 역설하지 않았던가.
그림출처:김성로 블로그 http://blog.daum.net/ksm416
출처 : 쓸쓸히 채워져 있고 따뜻이 비워진 숲
글쓴이 : 들이끼속의 烏竹 원글보기
메모 :
'삶의 향기 > 채근담 전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채근담(菜根譚)-전집54장/마음이 깨끗해야 책을 읽고 옛 도를 배울 수가 있 (0) | 2007.08.25 |
---|---|
[스크랩] 채근담(菜根譚)-전집55장/원망받는 유능한 자보다는 인생을 즐기는 무능한 (0) | 2007.08.25 |
[스크랩] 채근담(菜根譚)-전집57장/인간본성의 참된 글을 불완전한 책 속에 묻어 버 (0) | 2007.08.25 |
[스크랩] 채근담(菜根譚)-전집58장/일이 잘 풀려 나갈 때 뜻밖의 슬픔이 생기는 법이 (0) | 2007.08.25 |
[스크랩] 채근담(菜根譚)-전집59장/권력으로 얻은 부귀영화는 꽃병의 꽃처럼 금방 시 (0) | 2007.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