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로 [동심] 70*70cm, 한지위에 아크릴. 2004
- 그림출처:김성로 블로그 http://blog.daum.net/ksm416
[75장/마음을 비우고 진리와 정의가 들어와 살게 하라]心不可不虛 許則義理來居. 심불가불허 허즉의리래거. 心不可不實 實則物欲不入. 심불가불실 실즉물욕불입. 마음은 항상 비어 있지 않으면 안되나니 마음이 비어 있으면 정의와 진리가 들어와서 살 것이요, 마음은 차지 않으면 안되나니 마음이 차 있으면 물욕이 들어오지 못하느니라. [해설] 이 구절에서의 허虛는 마음이 외부의 유혹 등에서 자유로움을 가리키며, 실實은 마음이 근본적으로 가지는 것, 즉 자기 자신의 노력으로 자신의 인생을 헤쳐나가는 힘을 최고로 발휘하는 상태를 말함이다."마음을 비우라"와 "마음을 채우라"는 것은 일견 모순 되는 주문 같다. 그러나 편견과 독선 따위는 버려서 마음을 비우되, 사회에 대한 정의감, 미美에 대한 감수성, 진리에 대한 탐구성 등은 언제나 마음밭에 새겨 두고 정진하라는 뜻이라면 이해가 갈 것이다.
출처 : 쓸쓸히 채워져 있고 따뜻이 비워진 숲
글쓴이 : 들이끼속의 烏竹 원글보기
메모 :
'삶의 향기 > 채근담 전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채근담(菜根譚)-전집 73장/욕망을 안고 걸음을 내디디면 눈앞은 모두 가시 (0) | 2007.08.18 |
---|---|
[스크랩] 채근담(菜根譚)-전집 74장/괴로움도 겪고 즐거움도 맛보면서 얻은 행복은 (0) | 2007.08.18 |
[스크랩] 채근담(菜根譚)-전집 76장/지나치게 맑은 물에서는 물고기가 살지 못한다 (0) | 2007.08.18 |
[스크랩] 채근담(菜根譚)-전집 77장/한평생을 두고 마음의 병이 없다는 것은 부끄러 (0) | 2007.08.18 |
[스크랩] 채근담(菜根譚)-전집78장/무욕의 마음을 보물로 여긴 것은 세속을 초월하고 (0) | 2007.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