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시회/08,09 중국 북경전

[스크랩] 2008 베이징 올림픽기념 정예작가 초대전 자료

 

2008  北京奥运会 記念 高晶坤 個人展 (2008. 8. 12 ~ 18)

 

 

 

在记忆深处 / 기억속으로

 

  

 

    

不死鸟的梦 — 永远

 

 

                   在意识里永远无法消失

 

                    渴望这个梦是世俗性,感觉性,对人生自由无法抓住的象征

                    这自由是我脑海里生命的体现

                    或是对着无生物等形象化,对新生物的造形和方法

                    过去向未来,在潜意识里,对基本的渴望

                    超过自然的直描写

                    超过对自然体现的内性,对新生物体造形方法

                    以上对永远的自由,都在我们心里,人,山,树,月,花,石,塔,守护神

                    对生命的永久性......

 

 

 

 饗宴 / 향연

 

  

  

 

不死鸟的梦 — 生命7 / 가르빙가의 꿈 - 생명7

 

 

 

 不死鸟的梦 — 山2 / 가르빙가의 꿈 - 산2

  

   

 

 传说2 / 전설2

 

 

 

不死鸟的梦 — 生命  / 가르빙가의 꿈 - 생명

 

 

 

Garbinga, Searching for the Utopia

 

Kho, Chung-hwan art critic         

 

          Garbinga, the imaginary bird of Buddhism, symbolizes the eternal freedom which can not be

          seized in the sensible and mundane world. It is alike Baudelaire's imaginary bird, Albatross

          which flies high away from the mundane stupidity. Go Jeong-gon empathizes himself with this

          imaginary bird, Garbinga. Garbinga in his paintings is not a subject matter expressed in the

          concrete material but one symbol of his spiritual world that dominate his whole works.

 

          The world this artist looked through the

          eye of the universal, ideal and metaphysical bird Garbinga exists in the past. The past far

          away from the artist's existence is the place an archetypical being longs for, without any

          causal sequences and made up of the subconscious layers of the clues and parts

          remembered by dim memory. The tinge of transcendent mood resulted from this inclination

          toward the past is expressed in the artist's paintings. From this mood we feel the recurrence,

          nostalgia and deja vu.

 

          He expressed the utopia aroused by the nostalgia as the Buddhist Elysium harmonized with

          the Buddhist motives such as lotus, fish, pagoda and a image of Buddha. He also included

          the images borrowed and adapted from Korean folk paintings. For example, his paintings have

          the teeth of the comb and whirlpool patterns we can see easily in the traditional Korean tiles

          and walls. These concrete images and abstract ones are mingled and harmonize with each

          other in his paintings.

 

          The artist introduced a kind of constructional method before painting on the canvas in order

          to get these unified pictures. He first treated the canvas with refined clay and pastes Chinese

          drawing paper over this. Then he drew the pictures with the ink. Because of the clay treated

          over the canvas, there was delicate unevenness as well as the unique spreading effect of

          Chinese ink on the Chinese drawing paper. His works with the effects of this matiere and

          Chinese ink spreading seemed to be the artist's intentions or experiments to combine the two

          axes of Korean painting - colored paintings and Chinese ink paintings.

 

          The artist drew the pictures mainly with lines on the clay in the first step and then painted

          another pictures mainly with sides on the paper pasted over the clay. Through this process,

          he expressed the harmony of lines and sides. In addition, He made the salient parts noticeable

          with Chinese ink, which reminds us of frottage technique.

           

          He borrowed many things from traditional Korean folk paintings and adapted them in various

          ways. The whirlpool patterns which look like the shapes of mountain upon mountain or the

          fingerprints are congenial to the expression! of the spirit. ( The terrain shows the earth and

          the spirit of the universe are the one.) The diagrammatic sun, moon and constellation in his

          paintings look like those of the traditional painting "Il Wol Gon Ryun Do" There is also the

          work that reminds us of "Gojido" - the picture which has a village in the middle surrounded

          with mountains like setting up a screen is a kind of the expression! of "the Book of Changes"

          and the theory of division based on topology.

 

          Matiere and the spreading ink, lines and sides, bright and dark sides and the contrast of

          center and edge parts - all of these reflect dichotomous the male and female principle of the

          Oriental outlook on the universe. He used less colors like light-colored Chinese ink paintings

          than before. This may result from his seeking for idealistic and metaphysical utopia.

          (Colors mean mundane desire and the temperance of  colors mean abstinence.)

 

          Go jeong-gon's pictures which look like the rocks covered with dry moss or organic and

          simple patterns of the pictures carved on the rock tell me about yearning for a certain

          essential being. With the three-dimensional things expressed on the flat canvas, the many

          ordinary subject matters breaking down the boundary of the concreteness and the abstraction

          make me feel as if I walked along the wall

          of the old palace decorated with the small patterns.

 

 

 

 高 晶 坤(GO JEONG GON)

 

学 历

  1986 公州(KONGJU)大学 美术教育系  学士毕业

  1992 公州(KONGJU)大学 教育学院(美术教育专业)硕士毕业

  2007 檀国(DANKOOK)大学 艺术学院 造型艺术系 博(东洋画专业)结业

 

论 文

  朝鲜时代研究民画文字图(1992。硕士学位)

  运用韩国画技法研究抽象表现(2001。韩国美术教育学会)

 

个 人 展

  1996 第1会 个人展(首尔 SEOKYOUNG画廊)

  1998 第2会 个人展(富川市 GANA画廊)

  2003 第3会 个人展(首尔 LA MER画廊)

  2005 第4会 个人展(首尔 世宗文化会馆 美术馆)

 

邀请,团体,公募展

  1990 韩国美术协会忠南支部展(公州市 文艺会馆)

         忠南美术展览会 获得 特选(天安市 市民会馆)

  1990~04 富川市中学美术教师作品展(富川市 宣传展厅, GANA画廊, Poksagol文化中心 )

  1990~07 一条路韩国画展(公州市 文艺会馆, 天安市学生会馆)

  1991 忠南美书展兰会 获得 入选(天安市 市民会馆)

  1991~94 知.觉. 展(首尔 第3画廊, 瑞山市 SEOIN画廊)

  1991~04 忠南韩国画会展(公州市 文艺会馆, 天安市 市民会馆,文化园)

  1992 认识和摸索展(首尔 KwanHoon画廊 )

         新精神展 - 利用MAIL ART (首尔 第3画廊)

         内面意识的多元性展(首尔 市立美术馆)

         国际交感艺术际(京畿道 文化艺术会馆)

        土房展(首尔 KwanHoon画廊 )

  1992~93 生活基地展(富川市 宣传展厅)

  1993 忠南美术展览会 获得 大奖(天安市 市民会馆)

         大韩民国青年美术际(仁川 文化艺术会馆)

         市,道美术展览会 获奖作品展(仁川 文化艺术会馆)

  1994 忠南美术展会 获得 特选(天安市 市民会馆)

         变化,扩散展(首尔 SEOKYOUNG画廊)

         公州师范大学美术教育创建20周年纪念同门展(公州市 文艺会馆)

  1995~04 忠南美协邀请展(天安市 Arario画廊, 文艺会馆)

  1995 香,脉展(大田市 市民会馆 ,公州市 文艺会馆)

         青年画家表现展(首尔 造型画廊)

         韩国扇子画展(公州市,天安市,瑞山市)

         全国市,道 教员美术交流展(庆南道 文化艺术会馆)

  1996 韩国画新脉展(首尔 京仁画廊)

         新手会邀请展(首尔 市立美术馆)

         忠南韩国画会邀请展(天安市 文化园)

         认识和摸索展(首尔 SEOKYOUNG画廊)

         新手会邀请 (首尔 锺路画廊)

         京畿道教员美展(京畿道 文化艺术会馆)

         安堅美术展览展 获得 入选(瑞山市 文艺会馆)

  1997~99 韩国现代画家 MADRID 邀请展(SPAIN MADRID)

             仁川,富川 韩国画展(仁川市 文化艺术会馆,富川市 宣传展厅)

  1998~04 富川美术际(富川市 市民会馆)

              京畿道教员展(京畿道 文化艺术会馆)

              教授作品展(公州市 文艺会馆,公州文化园)

  1999 安堅美术展览展 获得 特选(首尔 艺术天堂)

         韩国精锐画家邀请展(首尔 市立美术馆)

         文人画精神展(首尔 公平艺术中心)

         公州大学美术教育系同门展(公州市 文艺会馆

  2000 雲耕李載灐先生追念展(首尔 世宗文化会馆)

         文人画精神一心展(首尔 公平艺术中心)

         韩国文人画邀请展(首尔 东亚画廊)

  2000~07 同,床,异,蒙展(富川市文化财团 Poksagol文化中心 ,仁川市文艺会馆

  2001 美意识表象展 (首尔 东亚画廊)

    畿美协邀请展(京畿道文艺会馆 )

         第20会大韩民国美术展览会获得 入选(果川市 国立现代美术馆)

         大田,忠清道青年画家邀请展(大田市 市民会馆)

         京畿道美术教课教育研究会 作品展(京畿道 学生青少年会馆)

  2002~05 韩, 日友谊交流展(富川市,日本大使馆SILK画廊,日本岡山市县立美术馆)

  2002 檀园美术展览会获得 入选(安山市 檀园展览馆)

  2003 第22会 韩国美术展览会获得 入选(果川市 国立现代美术馆)

         京畿道教员美术作品展(京畿道 文艺会馆)

         文人画精神和,气韵生动展(首尔 公平艺术中心)

         京畿艺术高中建校纪念教员作品展(富川市文化财团。poksagol文化中心)

  2004~05 韩国画大祭典 -昨天和今天展(仁川市 文艺会馆)

             京畿艺术高中美术系教员研究作品展(富川市文化财团,Poksagol文化中心)

  2004 富川美术协会展(富川市政府 艺术中心)

         韩国画和传统民间艺书品的会面展(公州市 文艺会馆)

         幡展(公州大学展厅)

         大韩民国青年美术际-2004 韩国美术沟通展(安山市政府艺术中心

  2004~05 京仁美术展览会- 新地平展(富川市政府艺术中心)

  2004~06 富川美术际(富川市文化财团,Poksagol文化中心)

  2005 香港Millennium 邀请展(香港 The world of Art Academy)

         夏天的林风展-全国扇子画 邀请展(安山市 檀园展览馆)

         KOREA RUSSIA ART FAIR(Russia Moscow Central House of Artist)

         大田,忠清 青年美术际 - ‘ 寻找中原美术香气‘(大田市政府美术馆) 生活基地展

        (富川市政府艺术中心

         第21会忠南韩国画协会举办 韩纸和民艺品香气展(公州市 文艺会馆)

         檀园美术展览会 获得 入选(安山市 檀园展览馆)

  2006-07 富川美协展(富川市政府艺术中心

  2006 京鄕housing art fair 金奖(高陽市 KINTEX 展厅)

  2007 檀园美术展览会 获得 入选(安山市 檀园展览馆)

         大韩民国美术展览会 获得 入选(果川市 国立现代美术馆)

  2008 知性展开展(安山市 檀园展览馆)

         富川美术际(富川市文化财团,Poksagol文化中心)

         第7会韩国画大际典 - 亚洲,韩国,仁川站(仁川市综合文化艺术会馆)

  2004 忠清南道美术展览会 运营委员

  2004-07 京仁美术展览会 运营委员

  2006 大韩民国女性美术展览会 审查委员

  1996-06 国立公州大学 讲师

  1997-07 国立公州教育大学 讲师

  2004-07 富川市 美术装饰物 选定委员

   

现 在: 韩国美术协会会员。 忠南韩国画会会员

  富川美术协会韩国画分科委员长。 忠清南道美术展览徽招待作家

  京畿艺术高中学校教师  (010-2264-6502)

 

 

 

GO, JEONG GON

  

- Graduated from the Dept. of Fine Art Education Gongju National Teachers' College

- Graduated from Gongju Education Graduate University The Fine Art Education Department

 

SOLO EXHIBITION

- 1TH~4TH Solo Exhibition of GO, JEONG GON (1994, 1998, 2003, 2005 Seoul Bu-cheon)

 

GROUP EXHIBITION AND INVITED EXHIBITION

- The 23rd. Chung Nam Fine Art Contest-Grand Prize (1993, Cheon-An Citizen Hall)

- Modern Artist Madrid Invitation Exhibition (1997, Spain Madrid)

- Group Shinsu Invitation Exhibition (1997, Seoul Citizen Hall)

- Professor's Painting Works Exhibition (1998, Gongju Art and Culture Hall)

- Special prize in An Gyun Fine Art Contest (1999, Seoul Arts Center)

- The Invited Exhibition of Korea Picked Artists (1999, Seoul Museum of Art)

- The 22nd Grand Art Exhibition of Korea (2003,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 The Exhibition for Korea․Japan Interchange of Amity (2003, Bucheon Korea, Okkayama Japan)

- Bucheon Fine Arts Exhibition (2005, Bucheon Boksagol Culture Center)

 

PRESENT

  Member of Korea Fine Arts Association / Member of Chungnam Korean Painting Association /

   Evited Artist of Chungnam Art Contest Lecturer at Gongju National University and Gongju National

   Education College / Art Teacher at Gyonggi High School of Arts

 

E-mail : gojgon@hanmail.net

Mobile : 010-2264-6502 

 

 

 

 

 나의 작품세계

      

          나의 회화 속에 등장하는 가르빙가는 불경에 나오는 상상 속의 새로서, 세속적이고 감각적인 세계에

         붙잡히지 않는 영원한 자유를 상징한다. 나는 이러한 상상의 새 가르빙가에게 나의 자아를 이입시켰다.

         관념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새인 가르빙가의 눈을 통해서 내가 들여다본 세계는 과거에 속해 있다.

         그 과거는 존재보다도 더 먼 아득한 곳, 어떤 원형적인 존재가 기원한 곳, 비정형의 단서와 편린들이

         잠재의식의 지층을 이루고 있는 곳이다. 내 그림의 고답적인 정조는 이러한 과거지향성에 연유하고 있으며,

         회향과 회귀, 언젠가 본 듯한 데자뷰에 바탕을 둔 아득한 향수에 근거한다.

 

          그 향수가 불러일으키는 이상세계는 특히 연꽃과 물고기, 불탑과 부처 등의 불가적 이미지들이 어우러진

         불국정토(佛國淨土)의 형태로 나타난다. 여기에 민화로부터 차용하고 각색한 이미지의 편린들을 더하였다.

         예컨대 기와나 벽 장식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정형 또는 비정형의 빗살문과 소용돌이 문양, 여러 기하학적 형태

         를 변주한 추상적이고 유기적인 이미지들이 그것이다.

 

          나는 이렇게 일체화된 화면을 얻기 위해서 화면 위에 바로 그리는 대신, 화면을 만들고 구축하는 식의 일종의

         건축적인 방법을 도입했다. 정제된 토분으로 바탕을 처리한 위에 화선지를 붙이고, 그 위에 재차 먹으로 그림

         을 그리는 식이다. 이렇듯 마티엘과 발묵이 하나의 결로서 어우러진 작업은 한국화의 두 축인 채색화와 수묵

         화의 전통을 결합하려는 의식적인 행위이자 실험정신의 한 형태이다.

 

          또한 나는 여러 면에서 전통적인 민화의 방법을 차용하고 각색했다. 주로 중첩된 산봉우리를 이루고 있는,

         지문(指紋)과도 같은 소용돌이 형태는 일종의 기(氣)의 표현에 그 맥이 닿아있다. 마치 사방에 병풍을 둘러쳐

         놓은 듯한 산세의 표현과 함께 그 가운데에 생활 터전을 위치시킨 고지도의 그림은 그 자체가 주역이나 풍수

         지리의 전통적인 관념과도 통하는 것이다.

 

          나의 근작들은 전작에 비해 현저하게 채색을 절제하고 있다. 먹그림을 중심으로 한 근작은 그 자체로 일말의

         관념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이상세계로 향하는 나의 회화관에 바탕한 것으로 그것은 근원적인 존재를 향한

         그리움의 형상화라 할 것이다.

 

  

“가르빙가의 꿈 - 영원” 

不死鸟的梦  / 가르빙가의 꿈

 

           나의 의식 속에는 소멸되지 않는 영원에 대한 갈망이 있다.

          이 꿈은 세속적이고 감각적인 세계에 붙잡히지 않는 영원한 자유를 상징한다.

          이러한 자유는 나의 화면 속에 나타나는 생명체, 혹은 무생물 등의 대상물로 형상화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모든 근원적 형상들에 나의 조형언어와 방법을 통하여 새로운 생명을 불어 넣고 싶다.

 

           과거에서 미래로 향하는 잠재의식 속의 근원적 욕망은 자연이나 대상을 직접 묘사하는 것을 넘어

          이들에 대한 원형적 존재 속에 내비쳐진 이미지들을 표출하는 것으로 나타내어진다.

          이상향에 대한 영원한 자유는 우리 모두의 가슴에 있지 않을까.

 

           인간 ? 산 ? 나무 ? 달 ? 꽃 ? 돌 ? 탑 ? 장승

          생명의 영원성에 대하여 …                                                     

 

 -  작가노트중에서 -

                       

  

 

프로필

■ 성 명

고 정 곤 (高 晶 坤)

   

학 력

  1986 공주사범대학 미술교육과 졸업

  1992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미술교육전공)졸업

  2007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예술학과 박사과정(동양화 전공) 수료

 

연구논문

  조선시대 민화에서의 문자도 연구(1992. 석사학위)

  한국화 기법을 활용한 추상적 심상표현 연구(2001. 한국미술교육학회)

 

개인전

  1996 제1회 개인전(서울 서경갤러리)

  1998 제2회 개인전(부천 가나아트갤러리)

  2003 제3회 개인전(서울 갤러리 라메르)

  2005 제4회 개인전(서울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본관)

 

초대전 ․ 단체전 ․ 공모전

  1990 한국미술협회 충남지부전(공주 문예회관) 충청남도미술대전 특선(천안 시민회관)

  1990~2004 부천시 중등미술교사 작품전(부천 홍보전시관, 가나아트갤러리, 복사골문화센타)

  1990~2007 한길한국화전(공주 문예회관, 천안학생회관)

  1991 충청남도미술대전 입선(천안 시민회관)

  1991~1994 지․각․전(서울 제3갤러리, 서산 서인사랑)

  1991~2004 충남한국화협회전(공주 문예회관, 천안 시민회관, 문화원)

  1992 인식과 모색전(서울 관훈미술관), 새로운 정신전-MAIL ART를 통하여(서울 제3갤러리)

          내면의식의 다원성전(서울 시립미술관) 국제교감예술제(경기도 문화예술회관) 토방전(관훈미술관)

  1992~1993 삶의 터전(부천 홍보전시관)

  1993 충청남도미술대전 대상 수상(천안 시민회관) 대한민국 청년미술제(인천 문화예술회관)

         시․도미술대전 수상작품전(인천 문화예술회관)

  1994 충청남도미술대전 특선(천안 시민회관) 변화와 확산전(서울 서경갤러리)

          공주사범대학 미술교육과 창설20주년 기념 동문전(공주 문예회관)

  1995~2004 충청남도미술대전 초대작가전(천안 아라리오미술관, 시민회관)

  1995 향기와 맥전(대전 시민회관, 공주 문예회관), 청년작가 표현전(서울 조형갤러리)

         한국부채그림전(공주,천안,서산) 전국시,도간 교직원 미술작품 교류전(경남 문화예술회관)

  1996 한국화 신맥전(서울 경인미술관) 신수회 초대전(서울 시립미술관)

         충남한국화회초대 한국화,그 의미와 표현전(천안 문화원)

  1996 인식과 모색전(서울 서경갤러리) 신수회 초대 뿌리깊은 나무 거듭나기전(서울 종로갤러리)

         경기도 교원미전(경기도 문화예술회관) 안견미술대전 입선(서산 문화회관)

  1997 한국현대작가MADRID 초대전(SPAIN MADRID)

  1997~1999 인천,부천 한국화전(인천 문화예술회관, 부천 홍보전시관)

  1998~2004 부천미술제(부천 시민회관, 복사골문화센타갤러리)

                  경기도 교원미술 작품전(경기도 문화예술회관)

  1998~2004 교수작품전(공주 문예회관, 공주문화원)

  1999 안견미술대전 특선(서울 예술의전당) 한국정예작가 초대전(서울 시립미술관)

         문인화정신의 본향전(서울 공평아트센타)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미술교육과 동문전(공주문예회관)

  2000 운경 이재형 선생추모전(서울 세종문화회관)

         문인화 정신의 한마음전(서울 공평아트센타)

         한국문인화초대전(서울 동아갤러리)

  2000~2007 同․床․異․夢전(부천문화재단 복사골갤러리, 인천 문화예술회관)

  2001 미의식의 표상전(서울 동아갤러리)  경기미협초대전(경기도 문화예술회관)

         제20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입선(과천 국립현대미술관) 대전․ 충청지역 청년작가초대전(대전 시민회관)

         경기도 미술교과교육연구회 작품전(경기도 학생청소년회관)

  2002~2005 한․일교류우호미술전(부천, 일본대사관SILK갤러리, 일본오까야마시현립미술관)

  2002 단원미술대전 입선(안산 단원전시관)

  2003 제22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입선(과천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교원미술작품전(경기도문화예술회관)

          문인화정신 그리고 기운생동전(서울 공평아트센타)

          경기예술고등학교 교원작품전(부천문화재단 복사골갤러리)

  2004~2005 한국화대제전-어제와 오늘전(인천 문화예술회관)

  2004~2005 경기예술고 미술과 교원연구작품전(부천문화재단 복사골갤러리)

  2004 부천미술협회전-자리(부천시청 아트센타) 한국화와 전통민예품의 만남전(공주 문예회관)

          번전(공주대학교 전시장) 대한민국청년미술제-2004 한국미술의 소통전(안산 단원전시관)

  2004-2005 경인미술대전-새로운 지평전(부천시청 아트센타)

  2005-2006 부천미술제(부천문화재단 복사골갤러리)

  2005 홍콩밀레니엄 초대전(홍콩 The world of Art Academy)

          여름속의 숲속바람전-전국부채그림 초대전(단원전시관)

          KOREA RUSSIA ART FAIR(Russia Moscow Central House of Artist)

          대전,충청 청년미술제-‘중원미술의 향기를 찾아’(대전광역시청 갤러리) 삶의 터전(부천시청 아트센타)

          제21회 충남한국화협회 기획 한지와 민예품의 향기전(공주 문예회관) 단원미술대전 입선(안산 단원전시관)

  2006-2007 부천미술협회전(부천시청 아트센타)

  2006 경향하우징 아트페어 금상(고양KINTEX 전시장)

  2007 단원미술대전 입선(안산 단원전시관) 대한민국미술대전 입선(과천 국립현대미술관)

  2008 지성의 펼침전(안산 단원전시관) 부천미술제(부천문화재단 복사골갤러리)

          제7회 한국화대제전-아시아드.한국.인천전(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2004 충청남도미술대전 운영위원

  2004-2007 경인미술대전 운영위원

  2006 대한민국 여성미술대전 심사위원

  1996-2006 국립공주대학교 강사

  1997-2007 국립공주교육대학교 강사

  2004-2007 부천시 미술장식물 선정위원

 

■ 현재 : 한국미술협회 ․ 충남한국화협회회원,

  부천미술협회 한국화분과위원장, 충청남도미술대전 초대작가,

  경기예술고등학교 교사

 

E-mail. gojgon@hanmail.net

  ■ 전화  010-2264-6502

  

출처 : 고정곤
글쓴이 : 고정곤 원글보기
메모 :

'전시회 > 08,09 중국 북경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경 카페 알림  (0) 2008.07.29
2008 Beijing olympic記念 精銳作家 招待展(중국어)  (0) 2008.07.25
보도자료(안)  (0) 2008.07.18
崔基成 招待個人展  (0) 2008.07.17
문화부 기자명단  (0) 2008.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