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로 [평화] 70*70cm, 한지위에 아크릴. 2007
[2장/낚시질은 재미있지만 물고기의 생살권生殺權을 가지고 있다]釣水逸事也 尙持生殺之柄. 奕棋淸戱也 且動戰爭之心. 조수일사야 상지생살지병. 혁기청희야 차동전쟁지심. 可見 喜事不如省事之爲適 多能不若無能之全眞. 가견 희사불여성사지위적 다능불약무능지전진. 낚시질은 조용하고 뛰어난 일이지만 그래도 살생하는 마음이 있는 것이고, 장기와 바둑은 깨끗한 놀이지만 그래도 전쟁하는 마음을 일으키게 하느니라. 이로써 볼 때 기쁜 일이란 일을 덜어 마음에 알맞도록 하는 것만 못하고, 재능이 많은 것보다는 무능하여 천진天眞을 보전하는 것이 나은 것을 알지니라. [해설] 전원 생활의 대표적인 소일거리라면 낚시질과 정자나무 그늘에서 두는 장기 ·바둑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낚시질은 물고기를 유혹해서 낚아내는 사기와 잔혹성에 지나지 않으며, 또 장기와 바둑은 승부의 세계인즉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승부욕이 불일 듯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이상적인 전원생활일까요? 가급적 깊은 사색과 독서로 정신세계를 연마해 나가는 것입니다. 인간 본연의 자세를 찾기 위해서는 비록 재능이 있더라도 마구 휘두르지 말고 무능한 자 처럼 행동하면서 말입니다. '재능이 있는 자는 재능이 없는 자의 종이다/能者拙之奴'란 말도 있지 아니한가요.
그림출처:김성로 블로그 http://blog.daum.net/ksm416
출처 : 쓸쓸히 채워져 있고 따뜻이 비워진 숲
글쓴이 : 들이끼속의 烏竹 원글보기
메모 :
'삶의 향기 > 채근담 후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채근담(菜根譚) 후집15장/쉬어야 할 때 스스로 쉬면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0) | 2007.08.27 |
---|---|
[스크랩] 채근담(菜根譚)-후집1장/전원을 말하는 사람은 아직 전원을 모르는 사람이 (0) | 2007.08.25 |
[스크랩] 채근담(菜根譚)-후집3장/모든 것이 죽은 후에야 비로소 천지의 참모습이 보 (0) | 2007.08.25 |
[스크랩] 채근담(菜根譚)-후집4장/세월은 유구한 것인데 조급한 자는 스스로 짧게 만 (0) | 2007.08.25 |
[스크랩] 채근담(菜根譚)-후집5장/풍정風情을 얻는 데 반드시 많아야 할 필요는 없다 (0) | 2007.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