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향기/채근담 후집

[스크랩] 채근담(菜根譚)-후집1장/전원을 말하는 사람은 아직 전원을 모르는 사람이

 

 

 

 

   김성로 [부분] 2001

  채근담(菜根譚)-후집
[1장/전원을 말하는 사람은 아직 전원을 모르는 사람이다]
    談山林之樂者 未必眞得山林之趣. 담산림지락자 미필진득산림지취. 厭名利之談者 未必盡忘名利之情. 염명이지담자 미필진망명리지정. 산림山林의 즐거움을 이야기하는 사람은 아직 산림의 맛을 진정 깨닫지 못한 것이요, 명리名利의 이야기를 싫어하는 사람은 아직 명리의 마음을 모두 잊지 못한 사람이다. [해설] 자연 속에 살면서 자연을 벗삼고 그 오묘한 자연의 이치에 푹 빠져들어 자연과 대화를 할 수 있는 경지에 오른 사람은 함부로 자연에 대해서 이러쿵저러쿵 말을 하지 않습니다. 자연에 대해서 어설프게 아는 사람, 즉 온갖 공해와 몰인정한 도시에서 벗어나 자연에 와보니 공기 좋고 산천 좋고 운운하는 사람은 실은 자연의 진짜 아름다움과 무한한 포용력을 모르는 사람입니다. 인간 역시 자연의 한 부분에 지나지 않는 존재가 아닌가요. 자연에서 왔다가 종래에는 자연으로 돌아가 한 줌의 흙으로 변해 버리는 것이 인간입니다. 그런 점에서는 왕후장상(王侯將相)이나 역적 강도나 다름이 없으며, 자연은 그 누구도 탓하지 않고 묵묵히 받아 줍니다. 그래서 자연을 일컬어 어머니의 품속과 같다 하였습니다. 이런 오묘한 진리까지 터득한 사람은 외람되이 자연 생활의 즐거움을 운운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림출처:김성로 블로그 http://blog.daum.net/ksm416

출처 : 쓸쓸히 채워져 있고 따뜻이 비워진 숲
글쓴이 : 들이끼속의 烏竹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