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미술교육

[스크랩]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다중지능 이론과 학교교육의 개선에 관한 연구

심우엽 (춘천교육대학교 교수)

─────────────── 요 약 ────────────────

지능이론 중에서 다중지능 이론만큼 교육적 시사가 많은 이론은 없다. Gardner는 8가지 근거에 의해 심리측정적 관점과 학교에서 전통적으로 강조되어 온 언어지능과 논리-수리 지능 외에 음악지능, 공간지능, 운동감각 지능, 개인지각 지능, 대인관계 지능, 자연관찰 지능, 실존지능을 더하여 9가지로 지능을 분류하였다. 각 지능이 나타나는 정도는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학생별로 우수한 지능을 발견하여 이 지능을 활용하여 가르칠 경우 수업효과가 높아진다. 이 이론에 근거한 수업을 실시할 때 문제점은 학급 크기 및 학생별로 우수한 지능을 어떻게 발견하는가 하는 측정문제와 서로 다른 지능의 표현 형태로 수업내용을 재구성하는 교사의 창의성과 많은 수업준비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중지능 이론 수업의 성패는 교육과정의 구성, 평가형태, 교육의 주변 문화에 달려 있다.

────────────────────────────────────────

I. 서론

지능이 연구되기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100년 동안 그 질과 양에서 많은 발전을 하여 지능의 정의를 한가지로 말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지능의 정의가 이렇게 다양하기는 하나 지능을 보는 관점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900년대 초부터 1950년대까지 지능이론과 측정을 주도해 온 심리 측정적 관점(Psychometric perspective), 피아제의 인지발달론적 관점(Piagetian perspective), 인지 심리학의 발달에 따라 정보 처리론적 관점(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에서 지능을 규명하려는 Sternberg의 3원이론(Triarchic theory of intelligence), 그리고 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이다.

지능이론은 교육현장에서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심리측정적 관점과 인지 발달론적 관점, 삼원이론에서는 학교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나 시사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전제 아래(심우엽, 1995), 다중지능 이론에서 그 대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먼저 앞의 세 지능이론의 문제점들을 간략히 정리하고 다중지능 이론의 이론적 배경과 측정 문제를 살펴 볼 것이다. 그리고 다중지능 이론의 비판과 문제점을 논의한 후 이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지능의 심리 측정적 관점은 지능을 일반 학습능력으로 보고 지필검사 등의 표준화된 검사를 만들어 개인차를 변별 하는데는 성공하였으나 그 개인차가 학습자에게 교육적으로 도움이 될 기회는 별로 없다. 이 관점은 단일 요인으로 일반 지능 g 를 가정하고, 지능의 유전계수(heritability ratio, h2)를 예로 들어(흔히 .3 ∼ .7로 보고됨) 일반 지능의 생물학적 근거(즉 유전)를 가정하며, 전통적인 지능 검사(IQ tests)가 지능을 잘 측정하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러한 세가지 가정은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Ceci & Bruck, 1994).

 

인지 발달론적 관점에서는 논리-수리 영역에서 개인차를 변별하고 특히 과학과 수학에서 수업방법과 내용을 보완하며, 호기심을 활용한 새로운 수업방법의 개발을 기대해 왔으나 지능에 대한 가정과 지능 발달이론에서의 문제 때문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적 시사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 이유는 그의 이론이 심리 측정적 관점과 같이 지능과 그 발달에 대하여 상황 중립적(context-neutral) 관점을 취하기 때문이다(심우엽, 1995).

 

Sternberg의 관점은 지능을 보다 넓게 개념화하였고 지능을 개인과 유관한 환경에서 일어나는 지적 활동을 통해 측정하고자 한다(Sternberg, 1985; Wagner, & Sternberg, 1984). 그러나 이 이론을 교육적으로 활용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가령 이 관점에서 지능을 측정하고 더 나아가 정보처리 단계의 명시화가 가능하다고 해도 명시화된 정보처리 단계나 과정을 훈련시켰을 때 학습자들이 구체적인 문제상황에서 이를 자발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가 의문이다.

 

 

II. 다중지능 이론

1. 이론적 배경

Gardner는 심리측정적 관점의 세가지 문제점으로 지능을 단일 요인으로 가정한 것과 (지능의 하위요인을 인정한다고 해도 최종 지능점수가 단일 점수로 표현되므로 단일 요인으로 취급하는 결과가 된다), 지능의 유전을 지나치게 강조한 것, 그리고 측정방법으로 객관화된 검사인 지필검사에 의존한 것을 지적하였다(Gardner, 1993, in press). 그는 자연 사태에서의 지능에 관심을 가지고 언어능력과 논리-수리적 능력이 학교에서는 물론이고 기존의 지능, 적성, 성취도 검사에서도 지나치게 강조되어 왔다고 지적하고 만일 다른 지능을 재는 새로운 검사가 만들어진다면 지능을 보는 관점도 달라질 것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지능을 "문제의 해결 능력 또는 중요하게 여기는 어떤 것을 만들어 내는 능력(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or fashion products that are of consequence in a paricular cultural setting or community)"으로 정의하였다(1993, p. 15). 그는 지능(intelligence)과 재능(talent)을 같은 용어로 간주하며, 지능을 지적 활동의 산물(product)이자 과정(process)이고 동시에 내용(content)이며 형태(style)로서 이 모두를 의미한다고 본다.

Gardner는 정상인의 지적 발달 과정은 물론 문학가나 뇌상해자에게서 나타나는 신경학적인 증거, 연령별 발달단계, 자폐증 환자와 학습장애 아동 및 특수 천재(idiot savant)같은 비정상인에게서 나타나는 특수 재능들, 정보의 종류에 따라 그 처리가 명확히 구별되는 현상, 지능의 심리측정적 관점에서 지능의 하위영역을 구분한 자료 등 8가지 근거를 종합하여 지능을 분류하였다. 여기서 정보의 종류에 따라 그 처리가 구별되는 현상이란 가령 감각기능은 손상되었어도 음악에서, 또는 다른 재능은 없어도 암산에서, 운동에서, 과학에서, 미술 등에서 서로 다른 정보처리 체계 를 통해 각자 탁월한 재능을 발휘하는 것을 말한다. 바꾸어 말하면 사람은 학교에서 중시하는 언어와 논리-수리 분야의 정보처리 체계로 모든 정보를 처리한다기 보다 각각 다른 분야(운동, 음악, 글쓰기 등)의 정보를 처리하는 독립된(domain-specific) 정보처리 체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근거에 의해 인간의 지적 활동을 서로 독립적인 9개의 분야로 나누어 각 분야에 대응하는 9가지의 지능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이중에서 자연관찰 지능과 실존지능은 최근에 추가한 것이다(Gardner, 1983, 1993, pp.17-25, 1995, 1996 강의노트, in press; Gardner, Kornhaber, & Wake, 1996).

1) 논리-수리 지능(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수학, 과학, 논리 분야의 천재들에게서 발견되는 능력으로 수리적, 논리적 사고와 관련된 재능이다.

2) 언어지능(linguistic intelligence): 문학가나 언론인에게서 나타나는 재능으로 기존의 지능 검사의 언어요인(verbal intelligence)에 해당된다. 어휘의 소리, 리듬, 의미, 그리고 언어의 서로 다른 기능을 민감하게 파악하는 능력을 말한다.

3) 음악지능(musical intelligence): 작곡가, 연주가, 성악가, 지휘자 등 음악가에게서 발견되는 음악적 재능을 말한다.

4) 공간지능(spatial intelligence): 건축가, 기술자, 조각가, 미술가에게서 발견되는 재능으로 시각, 공간적 세계를 정확히 지각하고 그 지각한 내용을 머리속에서 변형, 회전시켜 볼 수 있는 재능이다.

5) 운동감각 지능(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운동선수, 무용가, 마술사에게서 나타나는 재능으로 자신의 신체적 동작을 완벽하게 통제하고 물체를 솜씨있게 다루는 재능이다.

6) 대인관계 지능(interpersonal intelligence): 카운슬러, 판매원, 석가나 간디, 소크라테스와 같은 종교인, 사상가 등에게서 발견되는 능력으로 Thorndike (1920)가 말한 사회 지능(social intelligence)과 유사한 것이다. 가정이나 집단 등에서 다른 사람들의 기분, 기질, 동기, 의도를 잘 파악하고 적절히 대하는 능력이다.

7) 개인지각 지능(intrapersonal intelligence): 자신의 감정을 잘 알고 다스리는 사람, 신체적 컨디션과 행동을 잘 조절하는 사람, 종교인에게서 발견되는 능력으로 자신의 느낌(feeling), 장단점, 특기, 희망, 지능, 관심 등을 잘 파악하는 재능을 의미한다.

8) 자연관찰 지능(naturalist intelligence): 동식물이나 주변 사물 (가령 머리 스타일, 자동차, 운동화 등)을 자세히 관찰하여 차이점이나 공통점을 찾고 분석하는 능력이다. 사냥꾼, 진화론을 세운 다윈과 같은 사람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9) 실존지능(existentialist intelligence): 처음에는 영적 지능(spiritual intelligence)으로 불렀던 것으로 인간의 존재 이유, 생과 사의 문제, 희로애락, 인간의 본성, 가치 등 철학적인, 어떤 의미에서는 상당히 종교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 지능은 뇌에 해당 부위(brain center)가 없을 뿐 아니라 아동기에는 이 지능이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Gardner는 다른 8가지 지능과 달리 반쪽 지능으로 간주한다.)

지능이란 한 사회에서 중요시하는 인간의 능력이므로 사회에 따라 도덕지능, 요리지능, 예술지능도 설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문화에 따라 지능의 종류가 9가지 외에도 더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의 사회 활동을 상징체계에 따라 자연스럽게 분류할 때 그는 지능을 9가지로 보고 있다.

위의 9가지 지능은 모든 사람에게 어느 정도는 다 있되 나타나는 정도는 사람마다 다르다. 그래서 Gardner는 각 지능을 어느 정도까지는 발달시킬 수 있으며 특히 아동기의 환경 조성 즉 훈련을 통해 지능발달이 촉진될 수 있다고 본다(1993, pp. 47-48).

이 지능들은 서로 연합하여 하나의 목표 활동을 이룬다. 가령 요리를 하기 위해서는 요리책을 이해할 수 있는 언어지능, 요리 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할 수 있는 논리-수리 지능, 손을 자유롭게 놀릴 수 있는 운동감각 지능, 가족의 취향을 감지하여 만족시킬 수 있는 대인관계 지능 등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어떤 지능이 각 사람에게 어떤 활동형태(expert end-state performances)로 나타나는지는 사람마다 다르다. 가령 운동감각 지능이 목수에게는 손재주로 나타나며, 축구선수에게는 발재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흔히 말하는 적성이란 몇 개의 지능이 연합하여 활동하는 영역(field)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중지능은 심리측정적 관점에서의 지능보다 더 세부적인 능력(domain- specific abilities)이며, 학교나 사회 등 구체적 상황에서 생산적 기능을 발휘하는, 즉 자연사태에서 의미있는 활동이나 문제 해결에 사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2. 측정

다중지능을 객관화된 지필검사와 같은 한가지 방법만으로 측정하는 것은 충분치 못하다. 최근의 지능 측정경향과 같은 맥락에서 기존의 지능검사와 달리 (Davidson, 1990; Ceci, Ramey & Ramey, 1990) 실제 상황에서 각 지능의 표현형태인 의미있는 실제 활동을 통해서 측정해야 한다. 가령 운동감각 지능을 측정하려면 직접 활동을 시켜보고, 공간지능을 측정하려면 실제로 그림을 그려보아야 한다(Bellanca, Chapman, & Swartz, 1994). 다중지능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3-4세 아동들의 지능 내용과 활동 스타일을 측정했던 Project Spectrum을 들 수 있다. Spectrum 교실에는 다양한 종류의 활동 코너를 설치하고 아동들의 활동에서 지능의 징표를 찾는다. 다양한 종류의 물건들을 서로 비교하게 하는 자연관찰 코너는 관찰 및 논리적 분석력과 감각 기능을 측정한다. 이야기 코너는 언어지능과 상상력을 잰다. 교실을 꾸미게 하는 건축코너에서는 공간, 운동감각, 인간 관계 지능을 측정한다. 여기서 지능을 재는 방법은 기존의 지필검사 뿐 아니라 기계조작, 말하기, 그림 그리기, 춤추기, 타인의 활동 관찰하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방법(비데오테이프, 학생 자료철 등)으로 측정한다(Krechevsky, 1994; Krechevsky & Gardner, 1994; Hoerr, 1992).

각 코너에서 아동의 활동을 평가한 후 집단 평균으로부터 1 표준편차 이상의 점수를 받은 아동을 그 영역에서 강점을 가진 아동으로, 1 표준편차 이하의 점수를 얻은 아동을 그 영역에서 약점을 지닌 아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거의 모든 아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지능 영역에서 강점과 약점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2) 각 코너에 설치한 15가지의 활동 내용은 서로 이질적인 지적 능력을 측정하고 있다. 3) 한 코너에서의 강점은 다른 코너의 활동을 촉진하기도 하고, 방해하기도 한다. 4) 이 측정 방법을 통해 교사나 부모가 알지 못했던 아동의 지능의 강점과 약점을 찾아 낼 수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지능 특징을 발견하기 위해 이렇게 복잡하고 까다로운 방법만을 사용할 수는 없다. 자유시간에 학생들의 행동을 관찰, 기록하고 서류철을 참고하면 학생들의 지능특징을 발견하기가 어렵지 않다(Armstrong, 1994). 언어지능이 높은 아동은 책이나 대화를 선호하고, 운동지능이 탁월한 아동은 주로 운동장으로 갈 것이기 때문이다.

3. 다중지능 이론의 비판

Gardner의 지능이론은 몇가지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Scarr, 1985; Eisner, 1994).

첫째, 지능을 여러 가지로 분류하여 명명하는 것은 지능과 다른 인성특성이나 재능과의 구별을 흐리게 할 뿐이며 지능의 이해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비판이다. 또한 학업이나 직업에서 유용한 방향으로 지능을 분류하지만 어떤 종류의 지능도 측정해 보면 서로 독립적이지 못하다는 비판이다.

지능이 서로 독립적이지 못한 이유에 대해서 Gardner는 지능을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하지 않고 한가지 검사 형태 즉 지필검사로만 측정한 결과라고 반박한다. 즉 한가지 측정방법으로만 측정하면 측정방법의 영향을 받아서 각 지능이 서로 연관되는 것처럼 나타난다는 것이다(Gardner, in press).

둘째, 지능 측정 방법으로 심리측정적 관점이나 인지 발달론적 관점에서와 같은 객관화된 검사가 없다는 점이다. Gardner는 다중지능을 그러한 손쉬운 객관화된 검사에 의해 측정하는 것은 불완전하며 자연사태에서의 관찰, 검사, portfolio 사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할 것을 주장한다(Gardner, in press).

세째, 학교 교육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지능을 발견하고 개발하여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이 문제는 지능의 측정, 발견과 관련된 문제일 뿐 아니라 교사의 창의성과도 연관된 것으로 계속 탐구해야 할 숙제이다.

III. 교육적 시사

1. 수업에의 적용

다중지능 이론은 모든 학생은 최소한 하나의 우수한 지능을 갖고 있으며 이 지능을 이용하여 가르치면 성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교육철학과 믿음을 갖고 있다(Kornhaber, 1994; Gardner, in press). 한 영역에서 영재인 아동이 다른 영역에서는 부진아일 수도 있기 때문에 (Winner, 1996, pp. 14-34) 최대한 각자의 우수한 지능에 맞추어 내용을 제시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말이다. 이는 특정 교과를 잘 가르쳐 이와 연관된 특정의 지능을 개발한다는 말이 아니라 기존의 교육과정에서처럼 각 교과를 모두 가르치되 각 교과의 내용을 각 학생의 탁월한 지능을 활용하여 제시한다는 것이다. 가령 국어시간일지라도 음악지능이 높은 학생에게는 음악적 방법을 활용하여 수업내용의 일부를 제시하며, 공간지능이 높은 학생에게는 음악시간에도 부분적으로 공간지능을 활용하여 수업을 전개한다는 것이다.

다중지능 이론에 근거한 수업과 교육과정 개발에는 왕도가 없다. 교사가 교과의 성격과 학생의 지능에 맞추어 창의적으로 개발해야 하므로 한 교과의 수업자료를 다른 지능의 정보처리 체계로 변환하여 가르치는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곧 수업 준비다. 가령 영어 시간에 영어를 어떻게 그림, 신체 동작, 음악적 방법을 이용해서 가르치는가, 또는 학생간 관계를 함양하는 방향으로 가르칠 수 있는가를 연구하는 것이다.

다중지능 수업은 이를 채택하고 있는 학교와 교사에 따라 다양하다(Gardner, in press; Lazear, 1991; Campbell, Campbell, & Dickinson, 1996; Armstrong, 1994; O'Connor, & Callahan-Young, 1994; Bellanca, Chapman, & Swartz, 1994; Fuller Elementary School, 1996). 대부분은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개발된 것이나 O'Connor & Callahan-Young(1994)은 유치원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각 지능을 활용하는 수업 전략을 지능별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언어지능은 지능 중에서 수업 방법을 찾기가 가장 쉽다. 교과에 관계없이 이 지능을 활용하는 수업으로는 얘기 꾸며 말하기(storytelling),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테이프 레코딩(tape recording), 시/일기쓰기/글짓기, 문집/신문 만들기 등이다. 지능 중에서도 언어지능은 특히 자신감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안정된 분위기에서 교사가 언어의 모델이 되어 동화 구현, 소리내어 읽기 등을 지도해야 한다. 특히 어느 과목을 가르치든 모든 교사가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에서 국어교사만큼의 수준을 갖추어야 하며, 국어시간에는 다른 과목과 연관시켜 수업을 전개할 수도 있다.

2) 논리-수리 지능을 활용하는 수업으로는 학습 내용에 나오는 숫자 계산하기, 분류하기, 소크라테스 문답법 활용하기, 문제의 해법 추정하기, 체계적으로 생각하기 등이다.

3) 공간지능을 활용하는 수업으로는 학습 내용을 그림, 그래프 또는 심상(image)으로 그려보기, 학습 자료에 색칠하여 요소 구분하기 등이다.

4) 운동감각 지능을 활용하는 수업으로는 신체 동작으로 답 말하기(손들기 등), 학습 내용을 연극/동작으로 표현하기, 학습 자료를 직접 조작하기, 손가락 등 신체를 활용하여 학습 활동하기(계산 등) 등이다.

5) 음악지능을 활용하는 수업으로는 학습 내용과 연관된 노래하기/리듬치기, 학습 주제와 맞는 음악으로 학습 분위기 조성하기 등이다. 음악은 정서 함양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교실에서의 음악은 학습에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17개국에서 9학년(우리나라의 중학교 3학년에 해당)의 과학 성적을 조사한 보고서에 의하면 과학성적이 탁월한 항가리, 일본, 네델란드의 3개국은 학교의 기본 교육과정에서 음악과 미술을 심도있게 가르치고 있다. 특히 항가리에서는 날마다 음악 수업을 한다. 음악은 과학 및 수학적 사고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Campbell, Campbell, and Dickinson, 1996, p. 134).

6) 대인관계 지능을 활용하는 수업으로는 집단학습이나 협동학습 등이다. 대인관계 지능 및 개인지각 지능은 전통적인 경쟁 분위기보다는 협력학습, 집단 학습과정에서 나타나고 길러질 수 있다. 협력학습을 통해서 학생들이 소속감을 느끼고 자신을 보살펴 주고 있다는 느낌을 받으며 효과적으로 학습한다(Campbell, Campbell, & Dickinson, 1996, p. 161). 학습은 사고 뿐 아니라 감정의 영향도 받는다. 긴장, 공포, 화, 불신 등 부정적 감정은 학습을 방해하는데 비해 사랑, 유모어 같은 긍정적 감정은 학습을 촉진한다.

Csikszentmihalyi, Rathunde, and Whalen(1993)에 의하면 우수하고 행복한 학생들의 가정은 규칙이 명확하고, 부모가 높은 기대 수준을 갖고 자녀와 대화하며, 긍정적이고 따뜻하며 선택의 기회가 많이 주어지고 보살피는 느낌을 주는 분위기이다. 부모의 과도한 압력과 기대, 집착은 일반적으로 재능 발달과 정서에 부정적이지만 적절한 관심과 기대는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Winner, 1996. pp. 181-206; Rathunde & Csikszentmihalyi, 1991). 교실에서도 이러한 분위기를 조성하면 대인관계 지능, 개인지각 지능은 물론 학습에도 긍정적이다.

7) 개인지각 지능을 활용하는 수업으로는 수업 도중에 잠깐(1분) 명상하기, 수업 내용을 학생 자신에게 유의미하게 제시하고(이 공부를 내가 왜 해야 하는가?), 수업에서 자신의 목표 설정하기 등이다. 학생들에게 숙제나 문제의 양 및 해결 방법 등을 선택케 함으로써 선택의 기회를 많이 제공하여 결심과 책임감을 높이고 마음을 열게 한다(Fiske, 1991, pp. 62-92). 또한 수업 중에 학생들이 웃고 분노를 느끼고 흥분하는 등 강한 감정을 느끼고 표현할 수 있도록 교사는 정서 교육을 해야 한다. 대부분의 수업 장면은 정서 표현이 억제되는 경우가 많다. 정서 교육에서는 때로 교사가 감정 표현의 모델이 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감정을 유발시키는 영화, 책, 논쟁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감정을 경험케 하기도 하며, 교실에서 일어난 학생들의 감정은 교실 안에서 처리하도록 해야 한다.

8)자연관찰 지능을 활용하는 수업방법은 수업 자료나 내용에서 요소 간 차이나 공통점, 특징을 발견케 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가령 곤충이나 식물의 특징을 관찰, 발견하거나, 위인의 일생이나 역사적 사건에서 어떤 것을 발견케 하는 것들이다.

다중지능 수업은 기존의 수업과 전체적으로 다른 것은 아니다. 교사간 팀 티칭, 타 교과와 연계 수업 실시, 능력별 조 편성 등 기존의 수업에서 활용하는 방법들이 다중지능 수업에서도 활용된다.

수업시간 배당을 보면 대부분 전통적인 수업처럼 시간별 교과별 수업을 진행하나, 어떤 초등학교는 학년에 상관없이 7가지의 지능에 따른 7종류의 학습공간을 마련하여 학생들이 하루 수업시간의 2/3를 이 7가지 학습공간을 순회하면서 공부하게 한다. 아침에 등교하면 그날 공부할 내용과 주제를 담임교사가 간단히 소개하고 토의한 후 각자 원하는 학습공간으로 가서 한 공간당 25분 정도씩 머무르며 공부한다. 나머지 1/3은 학생 각자가 선택한 프로젝트를 하거나 친구들과 같이 공부한다.

학교에서 학생의 우수한 지능에 근거하여 지도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교사가 지능 표현형태의 발달을 이해하고 가르치는 것도 중요하다. 취학전에는 각 지능이 그 원형(raw intelligence)인 초보적 형태의 능력(raw patterning ability)으로 나타난다. 음악 지능은 소리의 높낮이를 쉽게 구별하는 능력으로, 공간지능은 3차원 물체를 쉽게 인식하는 능력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 원형은 다음 단계인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는 상징 체계(symbol system)로 발달한다. 언어지능은 말하기와 글짓기로, 음악지능은 노래로, 공간지능은 그림, 운동감각 지능은 몸놀림이나 춤 등으로 나타난다. 이 시기까지는 아동 개인의 독특한 흥미와 능력을 발견하는 단계인데 아동에 따라서는 그의 재능 분야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 고교 시기에서는 각 지능이 각각의 상징체계와 더불어 표기체계(notational system)로 나타난다. 수학은 논리-수리 지능의, 지도(地圖)해석은 공간지능의, 글짓기와 읽기는 언어지능의, 음악표기는 음악지능의 2차 상징체계인 표기체계이다. 초중고 시기에는 표기체계의 숙달이 요구된다. 이 시기의 아동은 지도가 필요하나 적절한 지도 방법은 개인의 발달 단계에 따라 다르다. 끝으로 청년기와 성인기에는 지능이 마침내 직업활동을 통해 성숙한 모습으로 표현된다.

이렇게 지능은 발달 단계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지능을 측정하고 촉진하는 방법도 단계마다 다르다.

2. 학교교육의 개선

지금까지 다중지능 수업을 살펴보았는데 다중지능 이론은 그외에도 학교 교육의 개선에 관하여 몇가지 시사를 하고 있으며(Kornhaber & Krechevsky, 1995; Hoerr, 1994), 영재교육 등 특수교육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Kornhaber, 1996; Baldwin, 1994; Armstrong, 1994).

Gardner는 자신의 지능이론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개인 중심학교(individual-centered school)를 구상하였다(1993, pp.9-11).

첫째, 음악, 운동, 인간 관계 등 실제 생활에서 필요한 재능을 발견, 개발하여 학습과 직업에서 성공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가령 학교에서도 언어와 논리-수리 지능외에 학생이 자신의 재능과 장점을 잘 파악하며 과제의 성격과 과제가 요구하는 답을 정확히 이해하고 교사 및 친구와 좋은 관계를 맺는 등 학습에 필요한 실제적인 지능(practical intelligence for school: PIFS)이 필요하다(Gardner, Krechevsky, Sternberg, & Okagaki, 1994, pp. 112-113; Williams, Blythe, White, Li, Sternberg, & Gardner, 1996).

둘째, 개인 중심 학교 교사의 역할과 기능은 전통적인 학교에서와 달리 1) 기존의 논리-수리 영역과 언어영역을 강조하는 측정보다는 다양한 측정 방법을 통하여 학생의 다양한 지능을 측정해야 한다. 2) 학생과 교육과정을 연결하는 중매자(student-curriculum broker)가 되어야 한다. 학생의 현 상태와 목표, 관심을 적절한 교육과정에 연결, 학습자에게 최적의 학습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3) 학교와 사+회를 연결하는 중매자(school-community broker)가 되어야 한다. 학교에서 충족시키지 못한 학습 기회를 사회가 제공하도록 중개해야 한다.

이 이론에 근거하여 학교교육을 개혁(school reform)하기 위해 Gardner는 다음의 네가지를 강조하였다(Gardner, 1993).

1) 평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평가는 학생간 개인차를 찾아내는 것보다 학습자의 지능에서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적절한 교수내용과 방법을 연결해 주는 평가이어야 한다.

2) 교육과정: 학생의 학습 스타일 및 강점과 약점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수업을 해야 한다.

3) 교사교육과 교사의 전문성: 우수 교사를 확보하기 위한 유인책이 필요하며 교사의 발달을 위해 교육여건을 개선해야 한다.

4) 지역사회의 교육에 참여: 과거에는 교육 기능을 학교가 주로 담당했지만 갈수록 학교 이외의 사회 기관(가령 박물관, 기업체, 전문 기관 등)도 교육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그래서 학교에서 제공하지 못한 교육기회는 사회가 담당해야 한다.

IV. 결론

Gardner의 지능이론은 몇가지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업효과를 높이고 학습에서의 실패를 감소시키는 수업방법을 시사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즉 학생 개개인의 지능을 파악하여 이에 맞게 수업내용을 제시하는 것이 수업에서 효과적이라는 주장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학급당 학생수가 많은 것과 우수한 지능을 발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으며 각 교과별로 서로 다른 지능의 표현형태로 학습할 내용을 재구성하여 제시하는 것이 교사 입장에서 결코 수월하지 않다는 점이 문제이다. 실제로 미국에서 다중지능 수업을 하는 교사들은 수업 준비하는 시간이 기존의 수업에서보다 4배 내지 6배까지 소요된다고 한다. 그래서 다중지능수업 연구비의 상당 부분이 교사들의 과도한 수업준비 시간에 대한 수당으로 지출되는 학교도 있었다.

교사들에게 수업 준비에 필요한 시간이 충분히 주어진다고 해도 한시간의 수업 내용에서 어느 부분을 어느 지능의 표현 형태로 재구성하여 제시할지 교사의 창의적인 사고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한 과목의 수업을 9개의 지능형태로 재구성하여 가르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실제로 한 시간의 수업에서 4개 이상의 지능과 연관하여 가르치는 것도 쉽지 않다.

교사의 창의성과 준비 시간 외에도 다중지능 이론에 근거한 수업의 성패 여부는 교육과정, 평가, 주변 문화(사회의 인식)에 달려 있다. 국어, 영어, 수학 중심의 교육과정안에서 한두가지의 지능만이 강조되거나, 개별 학생들의 장점과 특기를 살리는 다양한 수업 방법을 통하여 수업을 할 수 없도록 교육 과정이 구성되어 있다면 다중지능 이론에 의한 교육은 효과를 볼 수 없다.

또한 평가가 전통적인 지필검사에 의해 기억내용의 측정에 머문다면 다중지능 교육의 효과는 과소 평가된다. 사회에서 학교 교육에 대한 요구와 주문이 학생들의 특기를 살리는 수업보다 주어진 교육과정의 획일적인 이수와 단순한 지식 교육 위주의 수업을 강조한다면 다중지능 이론에 근거한 수업은 효과가 없다.

교육개선의 한 방법으로 다중지능 수업을 실시해 볼 수도 있다. 교사의 머리속에서 머무르고 있는 개인차를 존중하는 수업을 다중지능 수업을 통해 실시한다면 교사들에게서 수업 내용과 방법은 물론이고 교사의 역할과 평가에 관한 인식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모든 수업에서 언어지능이나 수리-논리 지능에 치중하지 않고 학생들의 다양한 지능을 살리고 개발하는 방향으로 수업을 하며, 행동 하나 하나에 더 깊은 관심을 갖게 되는 것 등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참고 문헌 / 심우엽 (1995). 지능의 관점과 교육적 시사. 초등교육연구, 9. 33-48.

창의성13. 창의성 신장을 위한 사고 기법

1) 브레인 스토밍 (Brain storming)

브레인 스토밍 기법은 광고회사 사장인 Alex F Osborn에 의해 창안된 방법으로 여러 사람이 모여 한 주제에 대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공동으로 내놓는 일종의 집단토의 기법이다. 브레인 스토밍은 ‘두뇌’라는 뜻의 브레인과 ‘폭풍’이라는 뜻의 스토밍이 결합된 단어로 ‘두뇌폭풍 (brainstroming)을 의미한다. 즉 brainstroming은 특정한 문제나 주제에 대해 두뇌에서 마치 폭풍이 몰아치듯 생각나는 아이디어를 모두 내놓는 기술이다.

브레인스토밍은 일체의 권위나 고정관념을 배제하고 수용적인 온화한 분위기에서 자유로이 생각나는 것을 무엇이든지 말하여 그 중에서 실제적이지 못한 것부터 제거하여 가장 좋은 힌트나 아이디어를 찾아내려는 방법이다.

(1) 브레인 스토밍의 4가지 규칙

브레인 스토밍 기법을 실시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기본 규칙을 따라야 한다.

① 비판엄금 : 다른 사람들이 제시하는 아이디어를 절대로 평가, 비판, 간섭하지 않는다.

② 아이디어수용 : 아무리 우스꽝스러운 아이디어라도 수용해야 한다. 되도록이면

아무 구애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말을 하며, 문제와 관련 없는 엉뚱한 아이이더라도 무엇이든 받아 들여야 한다.

③ 질보다는 양 : 질이 높은 아이디어보다는 많은 양의 아이디어가 더 중요하다.

많은 양의 아이디어 속에서 질 높은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④ 결합개선 :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결합하거나 수정, 추가, 모방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 수 있다.

(2) 진행방법

․ 사회자가 소그룹으로 6~8명으로 그룹을 조직한다. (적정인원은 12명 내외라고 할 수 있으며 보통 4~6명 정도의 소그룹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짝수보다는 홀수가 좋다. 이는 브레인 스토밍이 끝난 후 아이디어를 평가 할 때 찬성과 반대의 수가 동일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 자유스럽게 각자 아이디어를 말한다. 그러나 수줍어하거나 불편해 할 때는 카드에 아이디어를 적어 내게 한다. (참가자들이 원형으로 앉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으로 배치하기가 불가능 할 때는 구성원들이 서로 마주 볼 수 있도록 한다.)

․ 앉은 순서대로 차례대로 말하거나, 한 사람이 먼저 말하고 그 사람이 다른 사람을 지명 할 수 있다.

․ 브레인 스토밍을 하는 과정에 시간제한은 없으나, 보통 1시간 정도 진행 할 수 있으며, 브레인 스토밍에 대한 경험 유무나 주제, 연령 등에 따라 유통성 있게 조정한다.

․ 아이디어의 산출이 끝나면, 이것을 분류하고 정리하여 최종적으로 해결책을 선택한다.

2) 색다른 용도법 (unusual uses)

주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건을 원래의 용도 이외의 방법으로 사용하도록 아이디어를 유도하는데 주안점을 둔 기법이다.

(1) 진행방법

① 어떤 사물을 제시 한다 - 이때 유아들의 흥미를 유도하기 위해 재미있는 상황을 설정해 주는 것도 좋다.

② 아이디어를 떠 올린다 - 유아자신들이 자유롭게 이야기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 주고, 유아들의 생각을 수용하고 격려 해 주는 것도 좋다.

③ 유아들의 모든 아이디어를 살펴보고 그 중에 가장 독특한 것이 무엇인지, 누가 가장 많은 아이디어를 떠올렸는지를 살펴본다.

<그림 1-3> 색다른 용도법의 실례

문제 : 빗을 머리 빗는 것 외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세요

1. 장난감 6. 빨래방망이

2. 엄마회초리 7. 정전기 발생도구

3. 망치 8. 효자손

4. 악기 채 10. .

5. 구두 주걱 11. .

3) 강제 결합법 (Forced Relationships)

Whiting이 창안한 것으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전혀 관계가 없어 보이는 아이디어나 물건을 강제로 관계를 맺어 보도록 하는 훈련방법이다. 즉, 어떤 사물이나 아이디어를 색다르게 생각해 보는 능력을 계발 할 수 있도록 돕는 연합사고 활동으로 볼 수 있다.

(1) 목록표 작성법 (Listing Techniques)

① 문제를 제시하고 목록을 만든다.

② 제시된 목록을 문제와 연결시킨다.

③ 아이디어를 평가한다.

<그림 1-4> 목록표 작성법의 예

목록표

문제

공격성을 줄이려면

왕 관

장난감

신 문

소원들어주기

놀이공원가기

목 록

연 결 내 용

평 가

왕관

장난감

신문

소원들어주기

놀이공원가기

친구에게 공격하지 않을 때 마다 왕관을 씌워 준다

공격성이 나타나지 않을 때 마다 장난감을 선물로 준다

공격성의 부정적인 측면이 신문에 기사화 된 것을 읽어준다

하루 동안 공격성을 보이지 않으면 한가지 소원을 들어준다

일주일동안 공격성을 보이지 않으면 놀이공원을 데리고 간다

(2) 활용방법

․ 실제로 유아들이 직접 카드를 만들어서 활용하도록 격려해본다.

․ 주제와 관련된 학습에 사용 될 수 있다.

․ 두 집단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문제를 주고 똑 같은 단어를 제공하여 두 집단 중 어느 집단이 더 적절하게 연결 하는지 관찰해본다.

4) 브레인 라이팅 (Brain Writing)

독일의 홀리겔에 의해 창안된 집단 발상기법으로 팀원들은 서로 침묵을 지키면서 생각나는 아이디어를 자유분방하게 브레인 라이팅 시트에 기입한다.

사람들 앞에서 발언하기가 거북스럽고 꺼려지게 되는 경우 종이에 쓰는 것이 더 자유롭고 분방하게 기록 할 수 있기 때문에 홀리겔을 발언하는 대신 종이에 기록하는 방법을 창안하였다.

(1) 진행방법

① 팀원 각자에게 브레인 라이팅 시트를 1장씩 준다. 예비시트 1매는 책상의

가운데에 둔다.

② 브레인 스토밍의 4가지 원칙을 그대로 준수한다.

③ 시작을 알리면 가로 칸 (A-1, A-2, A-3)에 3가지 아이디어를 기입한다.

④ 3가지 아이디어를 기입하고 나면, 그 시트를 책상 가운데 있는 시트와 바꾼다.

⑤ 바꾼 시트지에 B-1, B-2, B-3에 새로운 아이디어 3가지를 써 넣는다.

⑥ 아이디어의 발상을 멈추라는 지시가 있을 때까지 계속해서 시트를 바꾸면서

아이디어를 써 넣는다.

⑦ 아이디어 발상이 끝나면 토의를 통해 가장 좋은 아이디어를 고른다.

<그림 1-5> 브레인 라이팅 시트 (Brainwriting sheet)

A1

A2

A3

B1

B2

B3

C1

C2

C3

D1

D2

D3

E1

E2

E3

F1

F2

F3

G1

G2

G3

H1

H2

H3

5) 마인드 맵 (Mind Map)

마인드 맵 기법은 1970년대 초 영국의 토니 부잔이 개발한 학습과 기억의 새로운 방법으로 Mind Map이란 ‘생각의 지도’라는 뜻으로 무순서, 다차원적인 특성을 가진 사람의 생각을 종이 한 가운데에 이미지로 표현해 두고 가지를 쳐서 핵심어, 이미지, 컬러, 기호, 심볼 등으로 방사형으로 펼침으로써 사고력, 창의력 및 기억력을 높이는 두뇌 개발 기법이다.

(1) 마인드 맵을 그리는 방법

① 1단계 : 중심이미지

먼저 나타내고자 하는 주제를 종이의 중앙에 함축적으로 나타낸다. 주제를 그림이미지로 표현한 것을 중심 이미지 또는 핵심 이미지라 한다. 중심이미지는 함축적인 단어, 상징화, 그림이나 기초, 약화, 일러스트, 만화, 사진, 인쇄물 등으로 나타내고 채색을 하며, 주제를 가장 효과적으로 시각화 하면서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방법을 택한다.

② 2단계 : 주가지

중심 이미지로부터 연결된 가지를 주가지라 한다. 중심 이미지 쪽 가지는 굵고, 그 반대쪽 가지는 가늘어지게 곡선을 유지하도록 한다. 주가지 위에는 핵심단어 (명사, 동상, 형용사, 부사 등)만 쓰도록 한다. 그 이유는 중심이미지가 그림이므로 주가지에서 그림이 다시 나올 때에 너무 생각의 폭이 넓어져 혼돈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③ 3단계 : 부가지

주가지로부터 연결된 가지를 부가지라 한다. 부 가지는 주가지보다 작고 가늘게 나타내며, 부가지 위에는 핵심단어, 그림, 기호, 약화 등으로 표현해도 된다. 부가지의 경우 아무 가지나 생각이 먼저 떠오르는 쪽을 택해서 먼저 연출해도 무방하다.

(2) 유의사항

① 가지별로 다른 색상을 사용한다.

② 주가지가 너무 많을 경우에는 가지마다 숫자를 사용하여 구별할 수 있다.

③ 생각을 연결해 나가다가 단절 될 경우에는 먼저 빈 가지를 그어 놓고 중심

이미지로 돌아가서 생각이 연결되어 나오는 것을 점검한다.

④ 서로 다른 가지에서 나온 핵심 단어가 관련이 있는 경우에는 화살표를 사용하여

그 부분을 연결하도록 한다.

⑤ 같은 가지에서는 핵심 단어를 반복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3) 마인드 맵의 활용 사례<그림 1-6> 마인드 맵의 활용사례

여행

준비물

화장품

썬그라스

편한신발

비상약

여러 가지 옷 종류

숙박

호텔

콘도

민박

텐트

언제

휴가때

방학때

공휴일

명절때

몇일

2박 3일

1박 2일

3박 4일

무박 1일

누구랑

가족

친척

친구

동료

사랑하는 사람

일반고속

우등고속

고속버스

새마을호

무궁화

KTX

봉고

렌트카

자가용

외국항공

유람선

카페리오

JAL

KAL

아시아나

여객선

뭘타고

가나

자동차

비행기

기차

버스

음식

식당에서

친척집에서

해먹는다

경비

50만원

100만원

10만원

70만원

장소

바다

제주도

울릉도

독도

한강

섬진강

낙동강

한라산

설악산

금강산

지리산

6) 스캠퍼 (Scamper)

브레인 스토밍 기법의 4가지 기본 규칙을 보완하기 위해서 창의성 check list를 사용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checklist중의 하나가 scamper이다. scamper는 Osborn이 제안한 체크리스트를 보완하여 스캠퍼 기법의 각 내용은 외우기 쉽고 실생활에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에 창의성 함양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Scamper 기법은 7단어의 약자로 구성되어 있다. 체크리스트 기법은 어떤 일을 할 때 누락되는 것이 없도록 하나씩 체크해 가기 위한 일람표를 말한다. 즉, 어떤 기준을 세워 놓고 61에 따라서 생각해보는 것이 곧 checklist법이다.

(1) 진행방법 7개 약자에 대한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한다.

S : 대치하기 (Substitute) - 무엇으로 대치 할 수 있을까?

C : 결합하기 (Combine) - 무엇으로 결합 할 수 있는가?

A : 순응하기 (Adapt) - 순응은 어떠한가?

M : 수정하기 (Modify) - 수정은 어떠한가?

색, 모양 등은 어떻게 바꿀 수 있는가?

M : 확대하기 (Magnify) - 확대는 어떠한가?

M : 축소하기 (Manify) - 작게 보다 가볍게, 짧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은?

P : 다른 용도로 사용 할 수 있는가 (put to other uses)?

E : 제거하기 (Elimininate) - 제거하는 것은 어떠한가?

R : 재정리하기 (Rearrange) - 어떻게 재정리를 할 수 있는가?

R : 반대로 하기 또는 순서 바꾸기 (Reverse)

(2) 스캠퍼 기법의 체크리스트 활용사례

<그림 1-7> 스캠프 기법의 체크리스트 활용사례 - 성양

P 다른 용도(put to other uses)성냥을 다른 용도로 사용한다면? 불붙기용->장식용으로

S 대치(substitute) 하기나무로 성냥을 만들지 않고 종이로 대치 하면 어떨까?

M 확대하기(Magnify)성냥을 더 크게 하면 어떨까? 큰 성냥, 왕성냥?

M 축소하기 (Manigy)성냥을 작게(미니성냥)하면 어떨까?

R 반대로하기(Reverse)성냥의 역할을 전환하여 초호화 성냥을 만들면?

C 결합하기 (Combine)성냥에 무엇을 더 하면 좋을까? 탑쌓는성냥? 점치는 성냥?

E 제거하기(Elimininate)성냥 중 유황을 제거하면 어떻게될까?

A 수용하기 (Adapt) 성냥과 비슷한 것은 무엇이 있을까?

M 수정하기(Modify)성냥 곽을 수정하면 어떨까? 삼각, 원형,다이아몬드형 성냥곽으로 수정하면 어떨까?

출처 : 가빈의 사랑이야기
글쓴이 : 시실리 원글보기
메모 :

'교육 > 미술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미술의 문화산업적 역할  (0) 2008.05.30
[스크랩] 아이디어 막히면 놀아라  (0) 2008.03.02
2008 경기도 중등 관리직 인사  (0) 2008.02.26
[스크랩] 명품의 특성  (0) 2008.02.19
악당 교장  (0) 2008.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