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림과 글/그림과 시(picture poem)

이 가을을 다 받아 마셔야 한다/김 태수

 

 

 

 이 가을을 다 받아 마셔야 한다

        

                           글 / 청명 김 태수

                          그림 / 솔뫼 김 성로


 

기댈 수 있는 어깨가 그리운 계절엔

홀로된 밥상이 더욱 서럽다

귀뚜라미의 공 울음은

운율을 실어 허공을 부유하고

지독한 한기는 늑골과 늑골이 처음으로 하나의

가족임을 확인케 하여 주었다 


해 질 녘 길게 늘어진 그의 목 주름은

흐느적거리는 고독의 강물처럼 처연하기만 한데

고독이란

죽어가는 소나무 위로

버려진 둥지와 같아서

한번 들어가면 나올 수 없는 미궁 같은

운명 지어진 쪽방 촌 이다

골목 집으로 흘러들어간 자는

이 가을을 다 받아 마셔야 한다 


이파리 무성했던 나무들이

여름내 무거웠던 멍에를 내리고

외로운 척 양껏 고독을 즐길 수 있었던 것도

믿는 구석이 있었기 때문이거늘

아, 이토록 사람이 그리운 줄 알았다면

그 시절 실컷 울었어야 했다


넘치는 기쁨에 가슴 벅찼던 날과

끝없는 슬픔에 질식할 것만 같았던 날이

대립각을 세우다 서로 눈물을 닦아주는

반전을 참지 못한 조급함이

하염없이 흘러내리는 눈물의 양을

가늠할 수 없도록 안배된 것이라면

맹물에 밥 한술 후루룩 떠 마신 고독한 자는

이 가을을 다 받아 마셔야 한다. 


2008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