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림과 글/그림과 시(picture poem)

[스크랩] 혼불의 대동제 (외 1편)

 

 

 

     혼불의 대동제 (외 1편)

                서상규


 봄 햇살에 불땀을 활활 돋운

 풀무질로 대장장이 금생이

 팔뚝근육이 불거진 담금질로

 노적봉에 삽날을 벼려

 땅심 붉은 황토를 갈아엎는다


 청상의 청암부인 눈물이

 한으로 둔덕진 이랑 이랑에

 한 알 한 톨 씨앗을 파종한다

 속울음으로 여름 빗줄기를 뿌려

 가문 뿌리를 적시고

 줄기 푸르른 배흘림으로

 종가의 솟을대문을 세운다


 당골네 백단이가 단풍빛 활옷을

 춤사위로 너풀대는 풍년제 한마당

 백정 탁주가 피 묻힌 칼도

 뭇 생명들의 극락왕생을 빈다

 제 몫, 제 살림으로

 땀방울 여문 곡식이 거두어진다

 

 초설(初雪)을 쪄낸 백설기로

 돌상을 차린 듯 한 해를 축원한다

 뼈마디에 혼불을 밝히고

 운명을 순명으로 견디는 사람들의

 가난이 풍성하다


      (혼불시 으뜸상, 10/13)



      설악에 오르다


 오색에서

 나머지 둘의 무지개 빛을 찾아

 설악을 오른다


 이미 환해진 속마음을 감추고

 맨 처음 산을 밟은 신성한 이를 따르는 산행

 환(幻)의 각(覺)에 피안을 오르듯

 잎새 하나에도 눈길이 걸려 넘어진다

 십이 선녀탕에서 그만,

 눈부신 알몸을 훔쳐보다가

 새파란 귀때기청봉이 경(經)치는 일갈에

 확확 달아오른 두 뺨의

 먹먹한 귀 울림이 첩첩산중을 메아리친다


 부끄러움으로 가벼운 공기에도 무거워지는

 발걸음마다 숨이 턱을 치받는 한계

 나무의 千佛, 千色 색감에 휩싸여

 찾을 수 없는 미완의 두 빛깔

 色界의 병풍 친 벼랑길을 돌고 도는

 바쁜 마음이 대청봉을 끌어당기지만

 산정은 멀기만 하다


 정상이란 생각에 마음을 멈추면

 길 앞에 또 길이 놓여있어,

 가파른 생의 발길을 늦추지 않으면

 어느덧 길(道)은 길(道)을 잊고

 하늘의 절정에 닿는다

 

 일곱 빛깔을 아우르는

 흰빛무리의 雪嶽 운해

 화엄의 깃에 실린 넋이

 동해 수평선으로 풀려나간다

 

      (한국산악문학상, 11/2)

  

출처 : 구름 위의 돌베개
글쓴이 : 산그늘 원글보기
메모 :

'그림과 글 > 그림과 시(picture po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귀 (回歸)  (0) 2007.11.22
눈에 마음을 두고  (0) 2007.11.22
옷걸이  (0) 2007.11.12
소네트  (0) 2007.11.11
구름 흐르듯  (0) 2007.11.06